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노마드북챌리닞
- 유사배열
- 모던 딥다이브
- JSX문법
- 패스트캠퍼스 강의 패키지
- 리액트JSX문법
- 딥 다이브
- 자바스크립트
- 패스트캠퍼스
- 프론트엔드 강의 패키지
- 노마드코더 #북클럽
- 코딩애플
- 엘리스트랙 프리트랙
- 프론트엔드웹개발의모든것초격차패키지Online
- 노마드코더 #개발자북클럽
-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5기
- 한화시스템 5기
-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 프론트엔드 강의
- 코딩애플 자바스크립트
- 문자열과 불변성
-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 프론트엔드웹개발의모든것초격차패키지
- deep dive
- 코딩애플자바스크립트
- 강의 패키지
- 프론트엔드강의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 원시값
- 패스트캠퍼스이벤트
- Today
- Total
목록스터디 (25)
개발자 연쨘

데이터 베이스 프로그램을 한다 = 데이터를 한다 더보기 (요청) 스프링 (요청) SQL이용해서 작업 Browser ————> Server(Web) DBMS (→안에 DB가 있음)

🐰 오늘 배운것 🐰 IO Redirect 쉘 스크립트 권한 -> 이부분은 복습 다시하기 파일 압축 정규표현식 쉘 스크립트(변수선언 조건 분기) 자바는 압축 파일 형태로 제공이 된다 -> jar 파일 파일에 대한 입출력이 이뤄진다. jar : 객체지향으로 이루어진 파일 IO Redirect IO 라는게 붙어있으면 인풋과 아웃풋이 붙어있는것. Redirect → 재지정해주는것 리눅스 인풋 → 키보드 리눅스 아웃풋 → 모니터 IO Redirect : Input /Output 의 재방향 즉, 입력과 출력의 기본적인 방향을 바꾸는 작업 🐇💭 리다이렉트를 할 때는 아래와 같이 “>”를 써서 해주면 된다. $ ls -l > redirect.txt 리다이렉트 실전으로 해보기! 리다이렉트 사용전. $ ls -l > re..

🐰 오늘은 ? 🐰 주말부터 독감예방주사 맞고 면역이 약해져서 목감기가 걸렸는지 목소리가 안나오기 시작했다. 말하고 싶은데 말이 안나온다...^^ 공부도 못하고 주말에 내내 병원가고 약먹고 자고만 반복하다가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개강이 왔다! 퇴사하고 오랜만에 이시간에 나가보는데 역시나 지옥철 ㅎㅎ... 예... 제 기분이요? 예....ㅋㅋ 숨이 안셔져요. 밀지 말아주세요... 😢 6개월동안 매일 저렇게 타야하는게 조금 두렵다... 그래도 열정만으로 버텨보자 열정!열정!열정! 수업시간에 강사님 소개가 있으셨는데 굉장히 밝으시다! 긍정의 씨앗도 나눠주셨다 ! 🌱 씨앗을 긍정으로 키워서 나의 발전으로 이어질 수 있을것이라 하였다. 꼭 긍정의 씨앗을 6개월 뒤에 예쁜 긍정의 꽃으로 만들것이다 🌼 강사님이 수업을 ..
🐰 타입 변환 🐰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타입이 있다. 개발자가 의도적으로 값의 타입을 변환 -> 명시적 타입 변환 (타입 캐스팅) let x = 10; // 명시적 타입 변환 // 숫자를 문자열로 타입 캐스팅한다. let str = x.toString(); //toString메서드 사용해서 문자로 타입 변환 console.log(typeof str, str); // string 10 // x 변수의 값이 변경된 것은 아니다. console.log(typeof x, x); // number 10 명시적 타입 변환 : 타입을 변경하겠다는 개발자의 의지가 코드에 명백히 드러남. 개발자 의도와 상관없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타입 변환 -> 암묵적 타입변환 (타입 강제 변환) let x = 10; // 암..

어쩌다가 한화시스템 BEYOND SW캠프까지 오게 되었는가 ? 나는 패션디자인을 전공하였고, 졸업 직전에 시각디자인 수업을 접하게 되었는데, 그 때 전공보다 더 흥미를 느꼈고 웹디자이너 라는 꿈이 생겼다. 그래서 졸업 후 2022년도에 웹디자인반 국비 학원을 등록해서 들은경험이 있다. 그곳에서 웹디자인 배우면서 코딩이라는것도 알아야한다며 같이 HTML, CSS, 제이쿼리를 얕게 알려주셨다. 그 때 당시 코딩이라는걸 접하고 내꿈은 자동적으로 웹퍼블리셔로 바뀌어있었다. 왜 프론트엔드라는 목표를 잡지 못했냐고 묻는다면, 얕게 배운탓에 프론트엔드는 꿈꿀 수 없었고, 웹퍼블리셔부터 도전해보자 하는 마음이 컸기에 웹퍼블리셔를 선택한게 이유다. 😢 국비 학원을 수료 후 CMS프로그램을 쓰는 웹퍼블리셔로 입사를 했다...

🐰 지수 연산자🐰 ES7에서 도입된 지수 연산자는 좌항의 피연산자를 밑으로, 우항의 피연산자를 지수로 거듭 제곱하여 숫자 값을 반환한다. 2 ** 2; // -> 4 2 ** 2.5; // -> 5.65685424949238 2 ** 0; // -> 1 2 ** -2; // -> 0.25 지수 연산자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Math.pow 메서드 사용 Math.pow(2, 2); // -> 4 Math.pow(2, 2.5); // -> 5.65685424949238 Math.pow(2, 0); // -> 1 Math.pow(2, -2); // -> 0.25 아래 예시에서는 ** 이 지수 연산자가 Math.pow메서드보다 가독성이 좋다. // 지수 연산자의 결합 순서는 우항에서 좌항이다. 즉, 우결합성을 갖는..

연산자 🐰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라 한다.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한다. 그리고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연산자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 산술 연산자 -> 숫자를 사용하여 수학적 계산 수행 5 * 4 // -> 20 (숫자 값 생성) // 문자열 연결 연산자 -> 두 문자열을 결합하여 하나의 문자열을 만듦 'My name is ' + 'Lee' // -> 'My name is Lee' (문자열 생성) // 할당 연산자 -> 변수에 값을 할당 color = 'red' // -> 'red' (red라는 값을 할당함) //..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은 값의 종류를 말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 자바스크립트 ES6는 7개의 데이터 타입을 갖으며,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나뉜다. * 원시 타입은 변경 불가능한 값이며 값에 의한 전달이다. 원시 타입 (primitive data type) boolean null undefined number string symbol (ES6에서 추가) 객체 타입 (object/reference type) object 예를 들어 숫자(number) 타입 1과 문자열(string) 타입 ‘1’은 비슷하게 보이지만 다른 타입의 값이다. 숫자 타입의 값은 주로 산술 연산을 위해 만들지만 문자열 타입의 값은 주로 텍스트로 출력하기 위해 만든다. 이처럼 개발자는 명확한 의도..

값 🐰 식이 평가되어 생성된 결과 // 10 + 20은 평가되어 숫자 값 30을 생성한다. 10 + 20; // 30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고 있다. 메모리에 저장된값은 데이터 타입에 따라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예를들면 메모리에 저장된 값 0100 0001을 숫자로 해석하면 65지만 문자로는 'A' 를 나타낸다. 변수는 하나의 값을 저장하기 위해 확보한 메모리 공간을 식별하기 위해 붙인 이름 즉, 변수에 할당되는 것은 값! // 변수에는 10 + 20이 평가되어 생성된 숫자 값 30이 할당된다. var sum = 10 + 20; sum변수에 할당되는것 10+20이 아닌 결과 값 30. 즉 sum에 저장된건 30이라는 값 이렇게 식으로 생성할 수 있지만 기본적인 방법은 리터럴을 사용하는 것 리터럴..

변수란? 🐰 변수는 값의 위치(주소)를 기억하는 저장소이다. 값의 위치란 값이 위치하고 있는 메모리 상의 주소를 의미한다. 즉, 변수란 값이 위치하고 있는 메모리 주소에 접근하기 위해 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명명한 식별자이다. 식별자는 어떤 대상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이름. 식별자에는 변수명, 함수명, 프로퍼티명, 클래스명등이 있음. 변수랑 식별자는 같은게 아닌가?! 🐯 변수와 식별자는 프로그래밍에서 중요한 개념이지만 서로 다른 의미를 가지고 있음. -변수 (Variable): 변수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나중에 사용하기 위한 메모리 위치를 가리키는 이름 예를 들어, 숫자나 문자열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할 때 사용 프로그램에서 변수는 값을 보관하고 해당 값을 변경할 수 있습니다. 컴퓨터 용어로서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