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 연쨘

[딥 다이브] 연산자 본문

스터디/모던 자바스크립트 Deep Dive

[딥 다이브] 연산자

연쨘 2023. 12. 20. 12:11
 

 


 

연산자 🐰

 

연산자는 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대상으로 산술, 할당, 비교, 논리, 타입, 지수 연산 등을 

수행해 하나의 값을 만든다.

 

이때 연산의 대상을 피연산자라 한다. 피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한다.

그리고 피연산자와 연산자의 조합으로 이뤄진

연산자 표현식도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표현식이어야 한다.

// 산술 연산자 -> 숫자를 사용하여 수학적 계산 수행
5 * 4 // -> 20 (숫자 값 생성)

// 문자열 연결 연산자 -> 두 문자열을 결합하여 하나의 문자열을 만듦
'My name is ' + 'Lee' // -> 'My name is Lee' (문자열 생성)

// 할당 연산자 -> 변수에 값을 할당
color = 'red' // -> 'red' (red라는 값을 할당함)

// 비교 연산자 -> 주어진 조건이 참인지 거짓인지 평가함.
3 > 5 // -> false (거짓으로 평가됨)

// 논리 연산자 -> 논리적인 조건을 결합하거나 평가함.
true && false // -> false (거짓으로 평가됨)

// 타입 연산자 -> 피연산자의 데이터 타입을 반환 
typeof 'Hi' // -> string (문자열 반환)

 

피연산자 역할 → 이라는 명사 역할

연산자 역할 → 피연산자를 연산하여 🆕새로운 값을 만든다 라는 동사역할

 

즉, 피연산자는 연산의 대상이 되어야 하므로 값으로 평가할 수 있어야한다.

연산자는 값으로 평가된 피연산자를 연산해   🆕새로운 값을 만든다. 


 

산술 연산자 🐰

 

산술 연산자는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수학적 계산을 수행해 새로운 숫자 값을 만든다.

   👻 산술 연산  불가능 하다면 ?   NaN (Not a Number) 반환 

 

 

 

이항 산술 연산자

 

이항 산술 연산자는 2개의 피연산자를 대상으로 연산한여 숫자 타입의 값을 만든다.

 

모든 이항 산술 연산자는 어떤 산술 연산을 해도

피연산자의 값이 바뀌는 경우는 !  언제나 새로운 값  

이항 산술 연산자 의미 부수효과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나머지

 

5 + 2  // 7
5 - 2  // 3
5 * 2  // 10
5 / 2  // 2.5
5 % 2  // 1

이항 산술 연산자 연산  피연산자의 값이 바뀌지  !  새로운 값   

 

 

 

단항 산술 연산자

 

단한 산술 연산자는 1개의 피연산자를 산술 연산하여 숫자 값을 만든다.

단항 산술 연산자의미 부수효과
++ 증가
-- 감소
+ 어떠한 효과도 없다. 음수를 양수로 반전하지도 않는다.
- 양수를 음수로 음수를 양수로 반전한 값을 반환한다.

 

 

증가/감소(++/–)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즉, 증가/감소 연산을 하면 피연산자의 값이 바뀐다.

var x = 1;

// ++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암묵적 할당이 이뤄진다.
x++; // x = x + 1;
console.log(x); // 2

// --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암묵적 할당이 이뤄진다.
x--; // x = x - 1;
console.log(x); // 1

 

 

 

증가/감소 (++/--) 연산자는 위치에 의미가 있다 ❗

🐯💬 : 피연산자 앞에 위치한 전위 증가/감소 연산자먼저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감소시킨 후

다른 연산을 수행한다.

🐯 💬 : 피연산자 뒤에 위치한 후위 증가/감소 연산자먼저 다른 연산을 수행한 후, 피연산자의 값을 

증가/감소 시킨다.

var x = 5, result;

// 선할당 후증가(postfix in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6

// 선증가 후할당(prefix in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7

// 선할당 후감소(postfix de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7 6

// 선감소 후할당 (prefix decrement operator)
result = --x;
console.log(result, x); // 5 5

 

 

 

+ 단항 연산자는 피연산자에 어떠한 효과도 없다.

음수를 양수로 반전하지도 않는다.

// 아무런 효과가 없다.
+10;    // -> 10
+(-10); // -> -10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 단항 연산자를 사용하면 피연산자를 숫자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한다.

피연산자를 변경하는 것은 ❌, 숫자 타입으로 변환한 값을 생성해서 반환하는것.

그러므로 부수효과 ❌

var x  = '1';

// 문자열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console.log(+x); // 1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1"

// 불리언 값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x = true;
console.log(+x); // 1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true

// 불리언 값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x = false;
console.log(+x); // 0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false

// 문자열을 숫자로 타입 변환할 수 없으므로 NaN을 반환한다.
x = 'Hello';
console.log(+x); // NaN
// 부수 효과는 없다.
console.log(x);  // "Hello"

 

 

- 단항 연산자는 피연사자의 부호를 반전한 값을 반환한다.

+ 단항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숫자 타입이 아닌 피연산자에 사용하면

피연사자를 숫자 타입으로 변환하여 반환

피연산자를 변경하는 것은 ❌, 부호를 반전한 값을 생성해 반환하는것.

그러므로 부수효과 ❌

// 부호를 반전한다.
-(-10); // -> 10

// 문자열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10'; // -> -10

// 불리언 값을 숫자로 타입 변환한다.
-true; // -> -1

// 문자열은 숫자로 타입 변환할 수 없으므로 NaN을 반환한다.
-'Hello'; // -> NaN

 

 

 

문자열 연결 연산자

 

+ 연산자는 피연산자 중 하나 이상이 문자열인 경우 문자열 연결 연산자로 동작한다.

그 이외 경우는 산술 연산자로 동작한다.

// 문자열 연결 연산자
'1' + 2; // -> '12'
1 + '2'; // -> '12'

// 산술 연산자
1 + 2; // -> 3

// true는 1로 타입 변환된다.
1 + true; // -> 2

// false는 0으로 타입 변환된다.
1 + false; // -> 1

// null은 0으로 타입 변환된다.
1 + null; // -> 1

// undefined는 숫자로 타입 변환되지 않는다.
+undefined;    // -> NaN
1 + undefined; // -> NaN

여기서 중요한건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되기도 한다는 것!

 

위 예제에서 1 + true를 연산하면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암묵적으로 

불리언 타입의 값인 true를 숫자 타입인 1로 타입을 강제로 변환한 후 연산을 수행

 

이를 암묵적 타입 변환 또는 타입 강제 변환 이라고 한다.

앞서 살펴본 +/- 단항 연산자도 암묵적 타입 변환이 발생한것.

(위의 내용은 타입 변환파트에서 다룰예정)

 


 

할당 연산자 🐰

 

할당 연산자는 우항에 있는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좌항에 있는 변수에 할당한다.

할당 연산자는 좌항의 변수에 값을 할당하므로 변수 값이 변하는 부수 효과 ⭕

 

할당 연산자 동일 표현 부수효과
= x = y x = y
+= x += y x = x + y
-= x -= y x = x - y
*= x *= y x = x * y
/= x /= y x = x / y
%= x %= y x = x % y

 

let x;

x = 10;
console.log(x); // 10

x += 5; // x = x + 5;
console.log(x); // 15

x -= 5; // x = x - 5;
console.log(x); // 10

x *= 5; // x = x * 5;
console.log(x); // 50

x /= 5; // x = x / 5;
console.log(x); // 10

x %= 5; // x = x % 5;
console.log(x); // 0

var str = 'My name is ';

// 문자열 연결 연산자
str += 'Lee'; // str = str + 'Lee';
console.log(str); // 'My name is Lee'

 

 

표현식 => 값으로 평가될 수 있는 문

var x;

// 할당문은 표현식인 문이다.
console.log(x = 10); // 10

 

할당문은 변수에 값을 할당하는 부수 효과만 있을 뿐 값으로 평가되지 않는 것처럼 보이지만,

할당문은 값으로 평가되는 표현식인 문으로서 할당된 값으로 평가된다.

 

아래 예시와 같이 변수에 동일한 값을 연쇄 할당할 수 있다.

let a, b, c;

// 연쇄 할당.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진행.
// ① c = 0 : 0으로 평가된다
// ② b = 0 : 0으로 평가된다
// ③ a = 0 : 0으로 평가된다
a = b = c = 0;

console.log(a, b, c); // 0 0 0

 


 

비교 연산자 🐰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한 다음 그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주로 if 문이나 for 문과 같은 제어문의 조건식에서 주로 사용한다.

 

 

 

동등 / 일치 비교 연산자

 

동등 비교 연산자 일치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같은 값으로 평가되는지 비교해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 동등 비교 연산자 => 느슨한 비교

🐯 일치 비교 연산자 => 엄격한 비교

 

비교 연산자 의미 사례 설명 부수 효과
== 동등 비교 x == y x와 y의 이 같음
=== 일치 비교 x === y x와 y의 타입이 같음
!= 부등 비교 x != y x와 y의 이 다름
!== 불일치 비교 x !== y x와 y의 타입이 다름

 

문자열 연결 연산자에서 언급했듯이 개발자의 의도와는 상관없이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타입이 자동 변환되기도 한다.

이를 암묵적 타입 변환이라 부른다고 했다.

 

동등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를 비교할 때 먼저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타입을 
일치 시킨 후 같은 값인지 비교한다. (즉, 암묵적 타입 변환 후 같은값인지 비교)

// 동등 비교
5 == 5; // -> true

// 타입은 다르지만 암묵적 타입 변환을 통해 타입을 일치시키면 동등하다.
5 == '5'; // -> true

 

동등 비교 연산자는 편리하지만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고 실수하기 쉽다.

동등 연산자(equality operator) ==은 0과 false를 구별하지 못한다.

// 동등 비교.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다.
//동등 연산자(equality operator) ==은 0과 false를 구별하지 못한다.
'0' == ''; // -> false
0 == '';   // -> true
0 == '0';  // -> true

false == 'false';   // -> false
false == '0';       // -> true

false == null;      // -> false
false == undefined; // -> false

 

 

그렇다면 boolean값 true가 나온것도 둘다 동등 비교하면 언제나 true일까?

이러한 의문에서 boolean값으로 비교한것도 궁금해서 찾아봤다.

let a = 0;
alert( Boolean(a) ); // false

let b = "0";
alert( Boolean(b) ); // true

alert(a == b); // true!

두 값(a와 b)을 비교하면 참이 반환되는데,

값을 논리 평가한 후 비교하면 하나는 참, 하나는 거짓이 반환된다.

동등 비교 연산자 == (예시에서 문자열 "0"을 숫자 0으로 변환시킨 것처럼) 피연산자를 숫자형으로 바꾸지만, 'Boolean’을 사용한 명시적 변환에는 다른 규칙이 사용되기 때문에

boolean값 두개 비교한게 true라도 동등연산자로 비교했을때 언제나 true 일수는 없다.

 

더보기

 


https://cyj1012.tistory.com/21

 

조건문 예제를 들었던 글에서 null이랑 undefined는 falsy를 갖는다 했는데 

동등 비교연산자로 비교했을 때는 다르다.

 

이 이유는 

동등 연산자는 null과 undefined를 '각별한 커플’두 값은 자기들끼리는 잘 어울리지만

다른 값들과는 잘 어울리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한다. 자세한 내용은 밑에서 살펴봐보자


 

 

이렇듯 타입변환에 의해 동등 비교 연산자는 예측하기 어려운 결과를 만들어낸다.

따라서 동등 비교 연산자는 사용하지 않는편이 좋다. 

일치 비교(===) 연산자를 사용하자.

 

일치 비교(===) 연산자는 좌항과 우항의 피연산자가 타입도 같고 값도 같은 경우에

한하여 true를 반환한다. (타입변환 ❌) 

 

일치 비교 연산자에서 주의할 것은 NaN이다.

// NaN은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 유일한 값이다.
NaN === NaN; // -> false

//undefined와 null도 해보았다. 모두 true
undefined === undefined // true
null === null // true

 

NaN은 자신과  일치하지 않는 유일한 값이다. 

따라서 숫자가 NaN인지 조사하려면 빌트인 훔수 Number.isNaN을 사용해야한다.

// Number.isNaN 함수는 지정한 값이 NaN인지 확인하고 그 결과를 불리언 값으로 반환한다.
Number.isNaN(NaN); // -> true
Number.isNaN(10);  // -> false
Number.isNaN(1 + undefined); // -> true

 

숫자 0도 주의하자.

// 양의 0과 음의 0의 비교. 일치 비교/동등 비교 모두 결과는 true이다.
0 === -0; // -> true
0 == -0;  // -> true

 


Object.is 메서드 💬

+0과 -0을 동일하다고 평가하고 동일한 값인 NaN과 NaN을 비교하면 다른 값이라고 평가한다.

ES6에서 도입된 Object.is 메서드는 다음과 같이 예측 가능한 정확한 비교 결과를 반환한다.

이외에는 일치 연산자(===)와 동일하게 동작한다.

-0 === +0;         // -> true
Object.is(-0, +0); // -> false

NaN === NaN;         // -> false
Object.is(NaN, NaN); // -> true

 

부동등 비교(!=)연산자와 불일치 비교(!==)연산자는

각각 동등 비교(==) 연산자와 일치 비교(===)연산자의 반대 개념이다.

// 부동등 비교
5 != 8;   // -> true
5 != 5;   // -> false
5 != '5'; // -> false

// 불일치 비교
5 !== 8;   // -> true
5 !== 5;   // -> false
5 !== '5'; // -> true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크기를 비교하여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

대소 관계 비교 연산자 비교 설명 부수 효과
> x > y x가 y보다 크다 
< x < y x가 y보다 작다 
>= x >= y x가 y보다 같거나 크다 
<= x <= y x가 y보다 같거나 크다 
// 대소 관계 비교
5 > 0;  // -> true
5 > 5;  // -> false
5 >= 5; // -> true
5 <= 5; // -> true

// 문자열 비교
'Z' > 'A' //true
'Glow' > 'Glee'//true
'Bee' > 'Be'//true

 

여기서 문자열 비교 시 적용되는 알고리즘을 자세히 살펴보자!

 

1. 두 문자열의 첫 글자를 비교한다.

2. 첫 번째 문자열의 첫 글자가 다른 문자열의 첫 글자보다 크면(작으면),
첫 번째 문자열이 두 번째 문자열보다 크다고(작다고) 결론 내고 비교를 종료한다.

3. 두 문자열의 첫 글자가 같으면 두 번째 글자를 같은 방식으로 비교한다.

4. 글자 간 비교가 끝날 때까지 이 과정을 반복한다.

5. 비교가 종료되었고 문자열의 길이도 같다면 두 문자열은 동일하다고 결론,
비교가 종료되었지만 두 문자열의 길이가 다르면 길이가 긴 문자열이 더 크다고 결론 냅니다.

 

 

  그렇다면 위의 문자열 비교 예시는 왜 저런 결과를 내는가? 

예시의 'Z' > 'A'는 위 알고리즘의 첫 번째 단계에서 비교 결과가 도출 반면,

문자열 'Glow'와 'Glee'는 복수의 문자로 이루어진 문자열이기 때문에,
아래와 같은 순서로 문자열 비교가 이뤄진다.

  1. G는 G와 같다.
  2. l은 l과 같다.
  3. o는 e보다 크기 때문에 여기서 비교가 종료되고, o가 있는 첫 번째 문자열 'Glow'가 더 크다는 결론이 도출

* 참고로 대문자와 소문자를 비교하면 소문자가 더 크다 ! (유니코드 순)

 


🐯💬 null undefined를 자세히 알아봐보자

 

null이나 undefined를 다른 값과 비교할 땐 예상치 않은 일들이 발생한다.

 

일치 연산자 ===를 사용하여 null과 undefined를 비교

두 값의 자료형이 다르기 때문에 일치 비교 시 거짓이 반환된다.

alert( null === undefined ); // false

 

 

 

동등 연산자 ==를 사용하여 null과 undefined를 비교

동등 연산자를 사용해 null과 undefined를 비교하면 특별한 규칙이 적용돼 true가 반환된다.

동등 연산자는 null과 undefined를 '각별한 커플’처럼 취급한다.
두 값은 자기들끼리는 잘 어울리지만 다른 값들과는 잘 어울리지 못한다.

alert( null == undefined ); // true

 

산술 연산자나 기타 비교 연산자 <, >, <=, >=를 사용하여 null과 undefined를 비교

null과 undefined는 숫자형으로 변환된다.

null은 0undefined는 NaN으로 변합된다.

 

 

 

null vs 0

null과 0을 비교해보자!

alert( null > 0 );  // (1) false
alert( null == 0 ); // (2) false
alert( null >= 0 ); // (3) true

(3)에서 null은 0보다 크거나 같다고 했기 때문에,

(1)이나 (2) 중 하나는 참이어야 하는데 둘 다 거짓을 반환하고 있다.

 

동등 연산자 ==와 기타 비교 연산자 <, >, <=, >=의 동작 방식이 다르기 때문이다.

(1)에서 null > 0이 거짓을, (3)에서 null >= 0이 참을 반환하는 이유는

(기타 비교 연산자의 동작 원리에 따라) null이 숫자형으로 변환돼 0이 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동등 연산자 ==는 피연산자가 undefined나 null일 때 형 변환을 하지 않는다.

undefined와 null을 비교하는 경우에만 true를 반환하고,

그 이외의 경우(null이나 undefined를 다른 값과 비교할 때)는 무조건 false를 반환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2)는 거짓을 반환한다.

 

 

 

비교가 불가능한 undefined

 

undefined를 다른 값과 비교해서는 안된다.

alert( undefined > 0 ); // false (1)
alert( undefined < 0 ); // false (2)
alert( undefined == 0 ); // false (3)

 

위 예시를 보면 undefined는 0을 매우 싫어하는 것처럼 보인다.
항상 false를 반환하고 있는데, 이런 결과는 아래와 같은 이유 때문에 발생한다.

 

- (1)과(2)에선 undefined가 NaN으로 변환되는데(숫자형으로의 변환)

NaN이 피연산자인 경우 비교 연산자는 항상 false를 반환한다.

 

- undefined는 null이나 undefined와 같고,

그 이외의 값과는 같지 않기 때문에 (3)은 false를 반환

 

주의사항 ❗

  • 일치 연산자 ===를 제외한 비교 연산자의 피연산자에 undefined나 null이 오지 않도록 특별히 주의
  • 또한, undefined나 null이 될 가능성이 있는 변수가 <, >, <=, >=의 피연산자가 되지 않도록 주의
  • 만약 변수가 undefined나 null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이를 따로 처리하는 코드를 추가

요약 ❗

  • 비교 연산자는 불린값을 반환
  • 문자열은 문자 단위로 비교되는데, 이때 비교 기준은 ‘사전’ 순
  • 서로 다른 타입의 값을 비교할 땐 숫자형으로 형 변환이 이뤄지고 난 후 비교가 진행(일치 연산자는 제외).
  • null과 undefined는 동등 비교(==) 시 서로 같지만 다른 값과는 같지 않다.
  • null이나 undefined가 될 확률이 있는 변수가 > 또는 <의 피연산자로 올 때는 주의,
     null, undefined 여부를 확인하는 코드를 따로 추가하는 습관을 들이길 권유

 

삼항 조건 연산자 🐰

 

삼항 조건 연산자는 조건식의 평가 결과에 따라 반환할 값을 결정한다.
자바스크립트의 유일한 삼항 연산자이며, 부수 효과는 없다.

조건식 ? 조건식이 ture일때 반환할 값 : 조건식이 false일때 반환할 값

 

물음표(?) 앞의 첫번째 피연산자가 조건식, 즉 불리언 타입의 값으로 평가될 표현식이다.

만약 조건식의 평가 결과가  불리언 값이 아니면 암묵적으로 불리언 값으로 타입이 변환된다.

이때 조건식이 참이면 콜론(:) 앞의 두번째 피연산자가 평가되어 반환되고,

거짓이면 콜론(:) 뒤의 세번째 피연산자가 평가되어 반환된다.

let x = 2;

// 2 % 2는 0이고 0은 false로 암묵적 타입 변환된다.
let result = x % 2 ? '홀수' : '짝수';

console.log(result); // 짝수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조건문이다.

따라서 if...else문을 사용해도 동일한 처리를 할 수 있다.

let x = 2, result;

// 2 % 2는 0이고 0은 false로 암묵적 타입 변환된다.
if (x % 2) result = '홀수';
else       result = '짝수';

console.log(result); // 짝수

 

 

하지만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if...else 문과 중요한 차이가 있다.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값처럼 사용 ⭕

if...else는 값처럼 사용 ❌

let x = 10;

// if...else 문은 표현식이 아닌 문이다. 따라서 값처럼 사용할 수 없다.
let result = if (x % 2) { result = '홀수'; } else { result = '짝수'; };
console.log(result);
// SyntaxError: Unexpected token if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값으로 평가랑 수 있는 표현식인 문이다. 

따라서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값처럼 다른 표현식의 일부가 될 수 있어 유용하다

let x = 10;

//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은 표현식인 문이다. 따라서 값처럼 사용할 수 있다.
let result = x % 2 ? '홀수' : '짝수';
console.log(result); // 짝수

 

 

조건에 따라 어떤 값을 결정해야 한다면 삼항 조건 연산자 표현식을 사용하는게 좋다.

하지만 조건에 따라 수행해야 할 문이 여러 개라면 if...else 문이 가독성이 더 좋다.

 


 

논리 연산자 🐰 -발표

 

논리 연산자는 우항과 좌항의 피연산자 (부정 논리 연산자의 경우 우항의 피연산자)를 논리 연산한다.

논리 연산자 의미 부수 효과
|| 논리합(OR)
&& 논리곱(AND)
! 부정(NOT)

 

||(OR)

프로그래밍에서 OR 연산자는 불린값을 조작하는 데 쓰인다.
인수 중 하나라도 
true이면 true를 반환하고, 그렇지 않으면 false를 반환한다.

 

&&(AND)

프로그래밍에서 AND 연산자는 두 피연산자가 모두가 참일 때 true를 반환한다.
그 외의 경우는 
false를 반환한다.

 

!(NOT)

피연산자를 불린형(true / false)으로 변환한 후 변환된 값의 역을 반환한다.

 

// 논리합(||) 연산자
true || true;   // -> true
true || false;  // -> true
false || true;  // -> true
false || false; // -> false

// 논리곱(&&) 연산자
true && true;   // -> true
true && false;  // -> false
false && true;  // -> false
false && false; // -> false

// 논리 부정(!) 연산자
!true;  // -> false
!false; // -> true

 

 

 

 

논리 부정(!) 연산자는 언제나 불리언 값을 반환한다.
단, 피연산자는 반드시 불리언 값일 필요는 없다.
만약 피연산자가 불리언 값이 아니라면 불리언 타입으로 암묵적 타입 변환이 된다.

// 암묵적 타입 변환
!0;       // -> true
!'Hello'; // -> false

 

 

💬논리합(||) 연산자와 논리곱(&&) 연산자의 연산 결과는 불리언 값이 아닐 수도 있다.
이 두 연산자는 언제나 피연산자 중 어는 한쪽 값을 반환한다. 이에 대해서는 단축평가 단원에서 살펴보자.

// 단축 평가
'Cat' && 'Dog'; // -> 'Dog'

 

드 모르간의 법칙

논리 연산자로 구성된 복잡한 표현식은 가독성이 좋지 않다.

이 경우 드 모르간의 법칙을 활용하면 좀 더 가독성 좋은 표현식으로 변환할 수 있다.

!(x || y) === (!x && !y)
!(x && y) === (!x || !y)

 

벤다이어그램 (더보기 클릭) !

더보기

한눈에 보기에도 첫번째 과정이 보기에 간단하고 생각하는 시간이 짧게 걸려서 효율적이다.

두번째를 보면  x가 포함되지 않는곳, y가 포함되지 않는곳을
생각해준다음에 겹치는 부분을 한번 더 찾아서 결론을 지어야한다.

 

x를 생각하기에는 쉽지만 x가 포함되지 않는곳을 생각하는건 한번 더 생각이 필요하다는걸

벤다이어그램으로 보면 더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러므로 피연산자 모두 !(부정 논리 연산자)가 들어가면 드모르간의 법칙을 사용하는게 

가독성도 효율성도 높아보인다.

 

 


 

쉼표 연산자 🐰 -발표

 

 

쉼표 연산자는 왼쪽 피연산자부터 차례대로 피연산자를 평가하고

마지막 피연산자의 평가가 끝나면 마지막 피연산자의 평가 결과를 반환한다.

let x, y, z;

x = 1, y = 2, z = 3; // 3

 

그룹 연산자 🐰

 

소괄호( '()' )로 피연산자를 감싸는 그룹 연산자는 자신의 피연산자인 표현식을 가장 먼저 평가한다.

따라서 그룹 연산자를 사용하면 연산자의 우선순위를 조절할 수 있다.

그룹 연산자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10 * 2 + 3; // -> 23

// 그룹 연산자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조절
10 * (2 + 3); // -> 50

 

🐯 첫 번째 문에서 계산 순서 : 10 * 2  => 2 + 3 (*이 우선순위가 더 높기 때문이다.)

🐯 두 번째 문에서 계산 순서 : 2 + 3 => 10 * 5 (여기서 5는 2 + 3을 계산한 결과 값이다.)

 


 

typeof 연산자 🐰

 

typeof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데이터 타입을 문자열로 반환한다.

 

typeof 연산자가 반환하는 7가지 문자열 

  • "string"
  • "number"
  • "boolean"
  • "undefined"
  • "symbol"
  • "object"
  • "function"
typeof ''              // -> "string"
typeof 1               // -> "number"
typeof NaN             // -> "number"
typeof true            // -> "boolean"
typeof undefined       // -> "undefined"
typeof Symbol()        // -> "symbol"
typeof null            // -> "object"
typeof []              // -> "object"
typeof {}              // -> "object"
typeof new Date()      // -> "object"
typeof /test/gi        // -> "object"
typeof function () {}  // -> "function"

 

 

typeof 연산자로 null 값을 연산해보면 "null"이 아닌 "object"를 반환한다.

이것은 자바스크립트 첫 번째 버전의 버그이다.

기존 코드에 영향을 줄 수 있기때문에 아직까지 이 버그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값이 null 타입인지 확인할 때는 일치 연산자(===)를 사용하자.

let foo = null;

typeof foo === null; // -> false
foo === null;        // -> true

 

 

또 하나 주의해야 할 것이 있다.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를 typeof 연산자로 연산해 보면

ReferenceError가 발생하지 않고 “undefined”를 반환한다.

// undeclared 식별자를 선언한 적이 없다.
typeof undeclared; // -> undefined

 

 

+ 참고

console.log로 확인할 경우 선언하지 않은 식별자는 null을 반환한다.

https://cyj1012.tistory.com/21 

 

[딥 다이브]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 🐰 데이터 타입은 값의 종류를 말한다. 자바스크립트의 모든 값은 데이터 타입을 갖는다. 자바스크립트 ES6는 7개의 데이터 타입을 갖으며, 원시 타입과 객체 타입으로 나뉜다. *

cyj1012.tistory.com

 

[딥 다이브] 데이터 타입 (더보기 클릭)

 

더보기

[딥 다이브] 데이터 타입


 

지수 연산자 🐰

 

ES7에서 도입된 지수 연산자는 좌항의 피연산자를 밑으로,
우항의 피연산자를 지수로 거듭 제곱하여 숫자 값을 반환한다.

2 ** 2;   // -> 4
2 ** 2.5; // -> 5.65685424949238
2 ** 0;   // -> 1
2 ** -2;  // -> 0.25

 

 

지수 연산자가 도입되기 이전에는 Math.pow 메서드 사용

Math.pow(2, 2);   // -> 4
Math.pow(2, 2.5); // -> 5.65685424949238
Math.pow(2, 0);   // -> 1
Math.pow(2, -2);  // -> 0.25

 

 

아래 예시에서는 ** 이 지수 연산자가  Math.pow메서드보다 가독성이 좋다.

// 지수 연산자의 결합 순서는 우항에서 좌항이다. 즉, 우결합성을 갖는다.
2 ** (3 ** 2); // -> 512
Math.pow(2, Math.pow(3, 2)); // -> 512

 

 

음수를 거듭제곱의 밑으로 사용해 계산하려면 다음과 같이 괄호로 묶어야한다!

-5 ** 2;
// SyntaxError: Unary operator used immediately before exponentiation expression.
// Parenthesis must be used to disambiguate operator precedence

(-5) ** 2; // -> 25

 

 

지수 연산자는 다른 산술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할당 연산자와 함께 사용 ⭕

var num = 5;
num **= 2; //num = num ** 2; -> 25

 

 

지수 연산자 이항 연산자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2 * 5 ** 2; // -> 50

 

 

이밖에도 ?., ??, delete, new, instanceof, in ... 등 다양한 연산자가 있다.
앞으로 나올 다른 주제와 밀접한 관계가 있어 해당 주제를 소개 할 때 알아보기로 하자!


 

연산자의 부수 효과 🐰

 

대부분의 연산자는 다른 코드에 영향 ❌
예를 들어 1*2는 값2를 생성할 뿐, 다른 코드에 영향을 주진 않는다.

하지만 일부 연산자는 다른 코드에 영향을 주는 부수 효과가 있다.

 

부수 효과가 있는 연산자
할당 연산자(=), 증가/감소 연산자(++/--), delete(프로퍼티 삭제) 연산자가 있다.

let x;

// 할당 연산자는 변수 값이 변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 이는 x 변수를 사용하는 다른 코드에 영향을 준다.
x = 1;
console.log(x); // 1

// 증가/감소 연산자(++/--)는 피연산자의 값을 변경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 피연산자 x의 값이 재할당되어 변경된다. 이는 x 변수를 사용하는 다른 코드에 영향을 준다.
x++;
console.log(x); // 2

var o = { a: 1 };

// delete 연산자는 객체의 프로퍼티를 삭제하는 부수 효과가 있다.
// 이는 o 객체를 사용하는 다른 코드에 영향을 준다.
delete o.a;
console.log(o); // {}

 


 

연산자 우선순위 🐰

 

연산자 우선순위란 여러 개의 연산자로 이뤄진 문이

실행될 때 연산자가 실행되는 순서를 말한다.
우선순위가 높을수록 먼저 실행된다.

우선순위 연산자
1 ()
2 new(매개변수 존재), .(dot), [ ](프로퍼티 접근), ( )(함수 호출), ?.(옵셔널 체이닝 연산자)
3 new(매개변수 미존재)
4 x++, x--
5 !x, +x, -x, ++x, --x, typeof, delete
6 ** (이항 연산자 중에서 우선순위가 가장 높다)
7 *, /, %
8 +, -
9 <, <=, >, >=, in(프로퍼티 존재 확인),
instanceof(좌변의 객체과 우변의 생성자 함수와 연결된 인스턴스 인지 판별)
10 ==, !=, ===, !==
11 ??(null 병합 연산자)
12 &&
13 ||
14 ? ... : ...
15 할당연산자 (=, +=, -=, ...)
16 ,

 

 

연산자는 종류가 너무 많아 기억하기 어렵고 실수하기도 쉽다.
연산자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그룹 연산자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명시적으로 조절하는것을 권장한다.

 

// 그룹 연산자를 사용하여 우선순위를 명시적으로 조절
10 * (2 + 3); // -> 50

 

아래로 갈수록 우선 순위 낮아짐!

1. ()
2. 단항 연산자 ( --, ++, +, -, ! )
3. 지수 연산자 (**)
4. 산술 연산자 ( *, /, %, +, - )
5. 비교 연산자 ( >, >=, <, <=, ==, ===, !==, != )
6. 논리 연산자 ( &&, || )
7. 삼항 연산자 (?...:...)
8. 대입 연산자 ( =, +=, -=, *=, /=, %= )

 

-x + 3 // 단항연산자가 더 높으므로 x의 부호를 바꾸고 -> 이항 연산자 덧셈 실행
x + 3 * y // * -> +
x + 3 > y -2 // 비교연산자(>) 보다 산술 연산자 '+', '-'가 먼저 수행
x > 3 && x < 5//비교연산자(>, <) -> 논리연산자(&&)
result = x + y * 3; // * -> + -> 대입 연산자(=)

 

🌼 비트 연산자 제외한 우선순위 ↓

더보기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우선순위(비트 연산자 제외)

순위 기능 연산자
1 괄호 ()
2 증감/ 논리 연산자 not ++, --, !
3 지수 연산자 **
4 산술 연산자 곱셈 *, /, %
5 산술 연산자 덧셈 +, -
6 비교 연산자 대소 <, <=, >, >=
7 비교 연산자 같음 ==, ===, !=, !==
8 논리 연산자 and &&
9 논리 연산자 or ||
10 대입연산자 =, +=, -=, *=. /=, %=

 


 

연산자 결합 순서 🐰

 

연산자 결합 순서란 연산자의 어느 쪽(좌항 또는 우항)부터 평가를 수행할 것인지를 나타내는 순서이다.

결합 순서 연산자
좌항  우항 +, -, /, %, <, <=, >, >=, &&, ||, ., [], (), ??, ?., in, instanceof
좌항  우항  ++, --, 할당연산자(=, +=, -=, ...), !x, +x, -x, ++x, --x, typeof, delete, ? ... : ..., **

 

 

단항연산자, 지수 연산자, 할당연산자만 우항에서 좌항!

 

 

✍🏻 우선 순위가 같은 연산자 일 때, 어떤 것을 먼저??

//우선 순위가 같은 연산자 일 때, 어떤 것을 먼저??
3 + 4 - 5 // + -> -
x = y = 3 // y = 3 -> x = 3

 

+와 -의 우선순위는 같이 이럴 때 결합규칙을 보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계산된다.
대입연산자일 경우 오른쪽에서 완쪽으로 계산이 되므로 오른쪽 부터 계산이 진행된다.

 

 

연산자와 우선순위의 결합법칙 요약!
1. 
산술 > 비교 > 논리 > 대입 ! 대입이 맨 마지막에 수행!
2. 단항 (피연산자 1개) > 이항 (피연산자 2개) !
 단항 연산자의 우선순위가 이항연산자보다 높다.
3. 단항연산자와 지수연산자, 대입 연산자를 제외한 
모든 연산의 진행 방식은 왼쪽에서 오른쪽이다.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