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자바스크립트 연산자
- 코딩애플자바스크립트
- 코딩애플
- 엘리스트랙 프리트랙
- 프론트엔드강의
- JSX문법
- 노마드코더 #북클럽
- 모던 딥다이브
- 한화시스템 5기
- 프론트엔드웹개발의모든것초격차패키지Online
- 리액트JSX문법
-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5기
- 패스트캠퍼스 프론트엔드
- 노마드북챌리닞
- 코딩애플 자바스크립트
- 프론트엔드 강의 패키지
- 노마드코더 #개발자북클럽
- 자바스크립트
- 패스트캠퍼스
- 유사배열
- 딥 다이브
- 한화시스템 부트캠프
- 프론트엔드 강의
- 강의 패키지
- deep dive
- 패스트캠퍼스이벤트
- 원시값
- 문자열과 불변성
- 프론트엔드웹개발의모든것초격차패키지
- 패스트캠퍼스 강의 패키지
- Today
- Total
개발자 연쨘
[REACT]JSX 문법 본문
리액트에서는 html이 아니라 JSX라는 문법을 사용합니다!
리액트에서는 <div>하나 만들기 위해서는
자바스크립트로 React.createElement('div', null) 이렇게 사용해야하는데
그러면 복잡하고 어려우므로 JSX를 사용하는겁니다!!
오늘은 이 JSX문법을 실제로 어떻게 적용하는지 알아보았습니다.
🐰 class 넣을땐 className 🐰
스타일을 주기 위한 class명을 넣을땐 className을 사용합니다.
class를 쓰면 안되는 이유는
자바스크립트에서 사용하는 예약어인 class라는 키워드를
사용하면 안되기 때문입니다.
function App() {
return (
<div className="APP"> <!--이런식으로 className 사용-->
<div className="black-nav">
<h4>블로그</h4>
</div>
);
}
export default App;
🐰 변수를 html에 넣을땐 {} 중괄호 사용 🐰
function App(){
let post = '우동맛집';//1.변수에 값을 저장
return (
<div className="App">
<div className="black-nav">
<div>블로그</div>
<div>{post}</div><!--2.원하는곳에 {변수} 입력
이렇게 하면 여기에 '우동맛집' 저장되있음-->
<div className={data}>반갑다</div>
<!--className으로 사용도 가능함 지금 이부분의 className은 우동맛집이 되는것-->
</div>
</div>
)
}
먼저 post라는 변수에 문자 저장해놓고
원하는 위치에 {post} 중괄호를 사용하여 위치시켜줍니다!
그러면 화면상 저부분에 변수에 저장하였던 문자 '우동 맛집'이 들어갑니다.
여러곳에 {}중괄호를 열어 변수를 집어넣는게 가능합니다!
href, id, className, src 등 여러가지 html속성들에 가능!
이렇듯 변수에 있던걸 html에 넣어주는걸 데이터바인딩이라고 부릅니다!
🐰 html에 style속성을 넣고 싶다면? 🐰
<div style="color : pink"> 이런걸 넣고 싶으면
JSX 상에서는 style={ } 안에 { } 자료형으로 집어넣어야합니다.
<div style={ {color : 'pink', fontSize : '28px'} }> 글씨 </div>
- {속성명 : '속성값' } 이렇게 넣으면 됩니다!
- ★ 여기서 보이는건 font-size가아닌 fontSize라고 작성되있는것인데.
대쉬기호를 쓸 수 없습니다. 대쉬기호 대신 모든 단어를 붙여써야하고,
붙여쓸 땐 앞글자를 대문자로 써야합니다 (카멜케이스 기법)
'코딩지식 > REACT' 카테고리의 다른 글
[REACT]중요한 데이터는 state에 저장 (2) | 2023.12.07 |
---|